Suricata IPS, IDS 시작하기 1편(설명)
많은 기업에서 각종 엔터프라이즈 또는 일반 사용자에게 서비스 하기위해 서버를 운영하는것이 대부분이다. 이러한 서버를 운영하면서 외부 올바르지 않은 접근이나 공격에 대비하기 위해 UTM, IPS, WAF, FW, SIEM, proxy 서버, 로그수집 등 많은 장비를 서버와 같이 운영하고 있다.
- IPS(IDS)
- 침입차단(방지)시스템으로 OSI 7 Layer의 3계층부터 7계층의 plain 데이터를 시그니쳐와 비교해 공격 유무를 탐지한다.
- IPS는 시그니쳐에 의한 탐지와 차단을 같이 진행하며 IDS는 탐지 기능만 제공하고 있다. 다만 오탐비율도 높은편이다.
- FW
-
방화벽이라는 장비로 3계층과 4계층에서 IP, PORT를 보고 혀용된 IP나 PORT는 허용하고 나머지 트레픽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
ip기반의 블랙기스트, 화이트리스트 기능이 사용 가능하고 특정 PORT에만 접근하도록 설정도 가능하며 ip, PORT기능을 복합적으로 사용헤 악의적이나 비인가 사용자에 대한 접근을 통제한다.
-
- WAF
- WAF는 웹 어플리케이션 방화벽의 약자로 기존의 방화벽이 3계층 4계층에서만 동작한 것의 한계를 벗어나 7계층에서 웹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방화벽 기능을 제공한다. 일반적인 ip, PORT기반의 접근 통제보다 더 넓은 SQL Injection, 악성 스크립트 삽입 등 웹 서버에 대한 공격을 탐지하고 이를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 UTM
- 통합 위협 관리의 약자로 IPS, FW기능을 하나로 합친 장비라고 봐도 무방하다. 장비의 사양에 따라 WAF기능이 추가된 장비도 존재하며 기존의 2개 이상의 장비의 운영에 드는 비용이나 관리적 측면에 이점이 있다.
- 요즘 UTM장비는 무선렌 대응이 되는 모델도 존재하며 매우 다양한 회사의 장비가 존재하고 기기의 가격보다는 시그니쳐, 펌웨어 업데이트로 인한 엔터프라이즈 라이센스 비용이 매우 큰편이다.
- proxy 서버
- 프록시 서버는 많은 웹 연결이 SSL 암호화로 이루어 지면서 보안장비에서 plain데이터 기반의 공격탐지가 불가능하다. 패킷들이 암호화 되면서 이들이 공격인지 아닌지에 대한 판단이 어렵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프록시 서버단에서 SSL 암호화를 진행하고 프록시 서버와 웹서버는 엄호화가 되지 않은 상태로 통신하게 되면서 중간에 보안장비가 패킷의 공격유무를 판단하는것이 일반적이다.
- 프록시 서버의 사용은 위 사례도 있지만 원래는 중간경유 서버를 주어 공격또는 장애에 대한 능동적인 방어를 위해 사용되었다. 예를 들면 A서버가 B라는 프록시 서버를 통해 서비스중인데 B를 목적지로 한 공격이 발생했다. 그럴경우 A서버는 피해가 적고 모든 피해는 B가 받게 되므로 프록시 서버만 다시 바꿔주면 정상적인 서비스가 가능하다.
- 프록시 서버 사용의 다른 목적으로는 로드벨런스 기능이 있다. 한 서비스에 대해 많은 사용자가 집중되는 경우 여러게의 미러서버를 두고 프록시 서버에서 부하를 분산해주는 역할을 한다.
- 로그수집
- 보안장비에서 수집된 로그데이터들을 한번에 볼수 있게 수집해주는 장비이다. ELK, Sqlunk 등이 있으며 각 장비에서 수집된 로그를 키워드 별로 바인딩 한 후 데시보드를 통해 원하는 로그를 보여준다.
- SIEM
- SIEM은 보안정보 이벤트 관리의 약자이다. SIEM장비를 처음 써본건 군에 있을때 이다. 군에서는 부대별로 SIEM장비를 도입하고 군단급 이상 사령부에서는 예하 부대의 국방망, 인터넷망, 전술망에 대한 통합 2차 관제를 수행했다. 필자가 있던 군단급에서는 인터넷 망을 제외한 국방망, 전술망에 대한 관제를 진행할때 Splunk에 있는 SIEM을 주로 사용했다. Splunk는 spl이라는 데이터 질의어를 이용해 공격으로 예상되는 시나리오를 작성하고 이에 대한 로그들을 볼수 있게 해준다.
설명이 길었다. 각설하고 이번 포스트의 목적은 오픈소스 IPS, IDS인 수리카타(Suritaca)를 소개하고 다음 포스트에서 수리카타의 기본적인 설치와 모의공격을 테스트 해볼 예정이다.
오픈소스 IPS, IDS로는 Suricata와 Snort이며 Snort는 단일 스레드 기반으로 작동한다. 따라스 그만한 성능저하가 예상되는데 이를 개선하여 나온 Suricata는 다중스레드 기반으로 동작하는 프로그램이다.
수리카타의 공식 홈페이지는 https://suricata.io/ 이다. 위에 접속하면 기본 도큐먼트로 설치와 운용가이드가 나와있다. 이 포스트는 공식 문서를 바탕으로 작성되었다.
수리카타는 패킷 복제 기반인 IDS와 인라인 기반인 IPS를 둘다 지원하는 오픈소스이다. 이러한 오픈소스는 탐지현황 데시보드가 기본적으로 지원되지 않지만, Splunk나 ELK를 통해 데이터 시각화가 가능하다.
필자는 외부로 서버를 장기간 오픈할 일이 있을때 수리카타를 같이 운용하는 편이며 기본적인 네트워크 구성도는 다음과 같다.
위 그림처럼 Docker를 통해 구성하며 필요에 따라서 프록시 서버를 FW으로 대체할수도, 구성이 바뀔수도 있다.
위 구성으로 한달 좀 넘게 프로젝트 개발용 서버를 운용해본 결과 오탐도 있었지만 많은 종류의 공격이 들어오는걸 볼수 있었다.
공개된지 얼마 안된 취약점이 공격으로 들어오는 경우도 있고, 디렉터리 리스팅, RCE 공격 등 다양한 공격이 탐지되었다. 보통은 외국에서 들어왔고 이중 오탐도 있었지만 직접 로그를 뜯어봤을때 무차별 대입공격도 확인되었다.
외국에서는 봇을 만들어서 무차별적으로 공격을 떄리는 단체가 있다고 하는데 이런 공간에 서버를 그냥 오픈해놨다는게 너무 안일했다는 생각이 든다.
다음 포스트에서는 수리카타를 직접 설치하고 위 구성도 처럼 서버를 구성하는것을 포스팅 할 예정이다.